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 tree 데이터삽입
- 백엔드
- SQL
- 트랜잭션
- Extendable hashing
- 개발남노씨
- 커널 동기화
- 운영체제
- 코딩테스트 [ ALL IN ONE ]
- 코딩애플
- 네트워크
- concurrency control
- SDK
- 인터럽트
- BreadcrumbsComputer-Networking_A-Top-Down-Approach
- 운영체제와 정보기술의 원리
- CPU 스케줄링
- Git
- vite
- 데이터베이스
- 쉬운 코드
- 반효경
- 갤럭시 S24
- 김영한
- 시스템프로그래밍
- 온디바이스AI
- 프로세스 주소 공간
- 시그널 핸들러
- 쉬운코드
- recoverability
- Today
- Total
목록AI (7)
티끌모아 태산
뉴럴링크 https://www.nocutnews.co.kr/news/6088708 [인터뷰] "뇌에 칩 이식…이제 공부할 필요없다?"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2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임창환 (한양대 뇌공학연구센터장)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가 인간의 뇌에다가 컴퓨터 칩을 이식하는 www.nocutnews.co.kr 최근 뉴스 방송과 기사에 오르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던 주제가 바로 '인간 뇌에 컴퓨터 칩 이식' 이었다. 말그대로 컴퓨터 칩을 인간의 뇌에 이식한 것이다. 관련 보도 자료는 일론머스트가 뇌 임플란트 스타트업인 뉴럴링크가 '인간의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데 성공했다' 는 내용이다.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 우선 뉴럴링크로부터 ..
LUMIERE https://lumiere-video.github.io/ Lumiere - Google Research Space-Time Text-to-Video diffusion model by Google Research. lumiere-video.github.io 최근 구글 연구소에서 비디오 생성을 위한 디퓨전 모델 LUMIERE를 논문으로 공개했다.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면 데모 영상을 볼 수 있는데, 퀄리티가 굉장히 좋다. text-to-vedio, Image-to-vedio 등을 비롯하여 vedio inpainting (짤리거나 없는 부분을 자동으로 채워서 출력해주는), 영상 모델이 착용하고 있는 악세사리를 퀄리티 높게 바꾸는 등 성능이 매우 좋다. 매일같이 새로운 신기술 혹은 성능이 향상된 ..
하루가 멀다하고 멀티 모달 등 AI 관련 논문, 생성형 AI를 활용한 서비스, 관련 기사 등이 쏟아지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이제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향후 국가 경쟁 기술로 확실하게 자리 잡았다. 그 근거로 미국에서 NVIDIA와 AMD 등 의 GPU를 중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규제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이렇게 국가 차원에서 AI 전쟁이 일어나고 있고 이제는 AI를 모르고서는 국가 경쟁력 뿐만 아니라 개인의 경쟁력을 차별화 시키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AI 시대에 어떻게 준비 하고 대응해야 할까?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해야하며 AI 규제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AI 시대,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해야할까 앞서 말한 것 처럼 AI는 이제 기업 차원을 넘어선 국가 차원에서..

최근 삼성전자에서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 '갤럭시 S24' 을 공개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주목 할 만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실시간 통역기능(온디바이스지원): 말그대로 실시간으로 통역을 해주는 기능이다. 이는 사용 언어가 다른 외국인과 통화를 하면서 실시간으로 번역을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들어, 내가 한국말로 말을 하면 상대방의 자국언어로 번역돼서 음성이 전잘되는 방식이다. 번역 시간이 있기때문에 약간 느리기는 하지만 획기적인 발전의 시작점이라고 생각한다. 서클 투 터치 기능(구글과 삼성 협력, 클라우드기반): TV나 영상을 보면서 해당 연예인이 착용하고 있는 옷이나 악세사리 등이 궁금해서 찾아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 기능은 영상을 보다가 찾아보고 싶은 제품 ..
온디바이스 AI 요즘 삼성전자 등 국내 대기업 뿐만 아니라 글로벌 Big tech 기업들도 온디바이스 AI에 집중하고 있다. 이런 거대 기업들이 '온디바이스 AI'에 관심을 쏟고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을까? 경제적 장점 즉, '온디바이스 AI'는 클라우드 서버를 빌리지 않고도 기기 내에서 원하는 AI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는 경제적 장점이 있다. 클라우드 방식보다 속도가 더 빠르다. 데이터 센터를 지을 필요가 없어서 데이터센터 비용과 규제 우려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같은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많은 거대 기업들이 '온디바이스 AI'에 투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온디바이스 AI로 인하여 각국의 기업들이 자사 스마트폰, 가전제품, 자동차 등에 자체 AI 기능을 탑재하는 것은 이제 시간문제다. 또한..

GPT 스토어 오픈 최근 GPT 스토어가 오픈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있다. 그래서 특화된 GPTs를 만들 수 있도록 알려주는 유튭 강의도 많이 올라오고 있다. 어떤 분야의 특화된 GPT를 만드는 것이 즐거움을 주는 요소도 있지만 앞으로 수익화가 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선, 1분기에 미국에서 먼저 GPT 빌더 수익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더 자세한 사항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유튜브도 영상을 올리고 조회수에 따라 수익을 버는 형식을 GPT에서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사용량에 따라 수익을 받을 것이다. chatGPT 서비스가 출시된지 1년 좀 넘었는데, 세상에 정말 많은 변화를 이끌어왔고 성능과 기능이 많이 업데이트 되었다. 앞으로 생..

이번시간에는 Federated learning(연합 학습)이 무엇인지 그리고 관련된 프레임 워크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oT(internet of thing) 기기가 증가함에 따라 smart city, healthcare, Internet of vehicles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생성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Deep Neural Network(DNN)에 대한 응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IoT 기기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에는 개인정보와 관련된 민감한 정보를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centralized machine learning 하는데는 위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IoT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서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