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딩애플
- 트랜잭션
- SDK
- B tree 데이터삽입
- 프로세스 주소 공간
- CPU 스케줄링
- 쉬운 코드
- 김영한
- 반효경
- 데이터베이스
- Extendable hashing
- 시그널 핸들러
- 운영체제
- 개발남노씨
- 온디바이스AI
- vite
- 갤럭시 S24
- BreadcrumbsComputer-Networking_A-Top-Down-Approach
- 커널 동기화
- 백엔드
- 네트워크
- 운영체제와 정보기술의 원리
- 쉬운코드
- concurrency control
- Git
- 코딩테스트 [ ALL IN ONE ]
- 시스템프로그래밍
- SQL
- recoverability
- 인터럽트
- Today
- Total
목록Web programming (4)
티끌모아 태산

FastAPI란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 웹 프레임워크인 FastAPI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파이썬을 활용해서 웹 서버를 만들 때, 좀 무거운 프로젝트면 'Django'를 사용하고 조금 가벼운 프로젝트는 'Flask' 프레임워크를 사용했었다. 하지만 요즘 FastAPI가 뜨고 있는 추세다. Django Flask FastAPI FastAPI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단 장고와 플라스크보다 빠르고 코드가 간결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 사진을 보면 Flask나 Django에 비해 FastAPI가 서버가 유저에게 문자를 전송하는 속도, DB 입출력 속도, HTML 파일 전송 속도 등에서 2배 이상의 성능을 나타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FastAPI가 다른 웹 프레임워크보다 성능이 2배 이상..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하는 백엔드 부분에서 Axios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HTTP 비동기 통신을 하는 과정에서 thunkFunctions.js:8 POST http://localhost:4000/users/register 500 (Internal Server Error) 라는 오류가 계속 발생해서 처음에는 클라언트 측면에서 요청하는데 문제가 있나 코드를 계속 수정해보고 했는데도, 에러가 계속 발생해서 골머리를 앓았다. 그러다가 클라이언트 측에서 Axios를 활용한 요청 부분에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에러가 500번대 이니깐 서버측에서 요청을 받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다.트러블슈팅 (Troubleshooting)처음에는 요청을 받고 처리하는 부분에서 경로에 문제가 있나 확인한 후 문제가 없다..

React App 예전에는 리액트 앱을 처음 실행하기 위해서는 webpack이나 babel같은 것을 설정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비 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create-react-app Command로 바로 시작할 수 있다. 이 create-react-app 명령어는 위 웹팩과 바벨 설정을 자동으로 해준다. *Babel은 최신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들을 위해서 최신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구형 브라우저에서도 돌 수 있게 변환 시켜줌. *webpack is a static module bunder for modern JS applications. 리액트 앱을 설치하고 싶은 Directory로 이동해서 터미널에 npm create-react app . 을 실행 시켜준다. npx create..
React JS란 페이스북에서 만들어진 라이브러리 Components modules과 비슷하게 컴포넌트로 이뤄줘 있어서 reusable 이 뛰어남. Virtual DOM JSX(우선 HTML으로 알아두기)을 렌더링 한다. 그러면 Virtual DOM이 업데이트가 됨. Virtual DOM이 이전 Virtual DOM에서 찍어둔 Snapshot과 비교를 해서 바뀐 부분을 찾는다. 이 과정을 "difing"이라고 부름. 그 바뀐 부분만 Real DOM에서 바꿔준다. 즉 전체를 Reload할 필요가 없다. *Virtual DOM을 사용하지 않고 Real DOM을 바로 사용할 경우, 어떤 부분을 업데이트 하면 전체를 Reload 해줘야 했기 때문에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Virtual DOM을 사용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