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끌모아 태산

딥페이크 기술의 악용 논란 본문

AI

딥페이크 기술의 악용 논란

goldpig 2024. 1. 29. 23:36
728x90

LUMIERE

https://lumiere-video.github.io/

 

Lumiere - Google Research

Space-Time Text-to-Video diffusion model by Google Research.

lumiere-video.github.io

  최근 구글 연구소에서 비디오 생성을 위한 디퓨전 모델 LUMIERE를 논문으로 공개했다.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면 데모 영상을 볼 수 있는데, 퀄리티가 굉장히 좋다. text-to-vedio, Image-to-vedio 등을 비롯하여 vedio inpainting (짤리거나 없는 부분을 자동으로 채워서 출력해주는), 영상 모델이 착용하고 있는 악세사리를 퀄리티 높게 바꾸는 등 성능이 매우 좋다. 매일같이 새로운 신기술 혹은 성능이 향상된 기술들이 쏟아지고 있으며 AI 기술의 발전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AI 기술 발전에 따른 악용 사례

  이렇게 생성형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과 동시에 악용 사례도 급증하고 있다. 최근 사회적으로 더 논란이 되고 있는 기술이 'DeepFake' 기술이다. 딥페이크란 컴퓨터의 심층학습을 의미하는 Deep learning과 가짜, 거짓을 뜻하는 Fake의 합성어로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합성 기술이다. 그래서 이미지, 비디오 생성 모델이 발전함에 따라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불법 영상물과 이미지가 유포되고 있다. 지난 22일에는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가짜 오디오를 활용하여 유권자들에게 전화를 거는 사건이 있었다. 

https://www.nbcnews.com/politics/2024-election/fake-joe-biden-robocall-tells-new-hampshire-democrats-not-vote-tuesday-rcna134984

 

Fake Joe Biden robocall tells New Hampshire Democrats not to vote Tuesday

The call, an apparent imitation or digital manipulation of the president's voice, says, "Voting this Tuesday only enables the Republicans in their quest to elect Donald Trump again."

www.nbcnews.com

  이처럼 딥페이크 기술이 정치 공작으로도 사용되고 있어 강력한 규제의 필요성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 다른 사례로 최근에 세계적인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얼굴을 합성한 음란 딥페이크 사진이 옛 트위터에 급속도로 유포되면서 사회전 혼란을 일으킨 사건이 있었다. 이런 유명 인사들에 대한 악용 사례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기술이 발전할 수록 진짜 인지 가짜인지 구별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12915431040795

 

스위프트 '딥페이크' 논란에…X 부랴부랴 '콘텐츠 단속센터' 신설 - 머니투데이

세계적인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얼굴을 합성한 음란 딥페이크(Deepfake, 가짜 사진·영상) 사진이 '엑스'(옛 트위터)에 급속도로 유포되면서, 인공지능(AI) 규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X(옛

news.mt.co.kr

다음은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딥페이크 영상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sbFHhpYU15w&t=2s

이처럼 기술이 발달하고 딥페이크 결과물이 점점 정교해지며 이를 통한 사회적 혼란과 범죄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유명 연예인과 정치인들을 대상으로 한 영상물들은 대중들에게 이미지 타격과 당사자에 대한 큰 정신적 피해를 입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피해 사례를 막기위해 강력한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마무리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현대 사회에 긍정적이고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만들고, 의료, 교육,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AI는 복잡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거나, 교육 분야에서 학생들에게 맞춤형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더 빠르고 정확한 생산 공정이 가능해졌으며, 교통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AI 기술의 부작용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가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를 생성하는 딥페이크 기술은 중대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악용되면 개인의 사생활 침해, 가짜 뉴스의 확산, 신뢰의 붕괴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를 악용하는 범죄 행위도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정부는 AI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발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지만, 동시에 AI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법적, 윤리적 규제를 신속하게 마련해야 한다.이를 위해 정부는 AI 기술의 사용에 대한 철저한 감독과 규제를 도입해야 하며, AI가 인권, 개인 정보 보호, 데이터 보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법적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또한, AI의 부정적인 사용을 예방하고 감시하기 위한 기술적 조치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딥페이크와 같은 기술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알고리즘의 개발, AI 사용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정책,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 AI 기술에 대한 교육과 인식 제고도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AI 기술은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지만, 이와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위험과 도전을 안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AI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는 동시에,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AI 기술이 가져오는 혁신적인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728x90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최신 뉴스 - 02/05  (1) 2024.02.05
AI 전쟁 시대, 어떻게 준비 해야 할까  (1) 2024.01.27
AI 기능 탑재한 '갤럭시 S24'  (1) 2024.01.21